리뷰 네비게이션

문서 위치

본문내용

교과목소개

  • 생명과학및실험1,2 (Life Science and Experiments 1, 2)
    생명현상의 기본 개념을 생물전반에 걸쳐 이해시킴으로써 순수생물학 및 응용생물학 계열에 필요한 생명과학의 기본원리를 터득케 한다.

  • 바이오산업입문1,2 ( Introduction to Biotechnology Industry1,2)
    바이오기술을 바탕으로 생물체의 기능과 정보를 활용하여 인류에 유용한 물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바이오의약, 바이오화학, 바이오식품, 바이오환경, 바이오공정, 바이오에너지, 바이오자원 산업에 대하여 이해한다.

  • 식물다양성및실험 (Plant Diversity and Laboratory)
    식물의 다양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식물의 형태를 기초로 하여 분류방법 및 분류계통에 대한 학습과 각 분류군의 특징을 숙지한다.

  • 동물다양성1,2 (Animal Diversity1,2)
    동물의 다양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동물의 형태를 기초로 하여 분류방법 및 분류계통에 대한 학습과 각 분류군의 특징을 숙지한다.

  • 식물분류학및실험 (Plant Taxonomy and Laboratory)
    식물의 다양성과 유연관계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식물의 형태를 기초로 하여 분류방법 및 분류계통에 대한 학습과 각 분류군의 특징을 숙지한다.

  • 세포학 (Cell Biology)
    동·식물세포의 구조와 기능과의 관계, 물리화학적 특성, 세포기관의 미세구조, 세포내 신호전달에 대한 기능 및 세포분화와 상호작용을 다룬다.

  • 생명과학실험 1,2 (Experiments in Life Sciences 1,2)
    실험 실습을 통해서 현대생물학의 기초가 되는 연구방법들을 미생물, 동물, 식물을 대상으로 분자 수준에서 개체 수준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 식품미생물학및실험 (Microbiology and Laboratory)
    생활속에서 유용한 미생물의 구조, 기능 등의 기본적인 특성과 이용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특히, 제약, 의약, 화장품, 식품 및 음료 산업 등에 이용되는 균주들을 대상으로 한다.

  • 인간행동과과학문화사회환경(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의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한다. 특히 4차산업혁명으로 현재의 환경인 과학문화사회의 특성을 이해하여 생애주기이론관점에서 인간의 발달단계와 발달과제를 학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인으로서 사회복지실천을 할 수 있는 소양을 학습한다

  • 지역사회복지론(Community Welfare)
    지역사회 복지의 이념과 가치를 바탕으로 지역사회복지계획, 모형, 제도, 방법을 학습한다. 특히 과학기술을 지역복지정책에 접목하는 실천 모델 및 방법론을 학습하여 지역사회복지 문제를 예방, 해결하는데 요구되는 전문역량을 학습한다.

  • 식물형태학및실험 (Plant Morphology and Laboratory)
    유관속 식물의 내부형태와 분화 및 구조와 기능과의 관계 이해 실험을 통하여 각 조직의 특징을 숙지한다.

  • 식물구조학및실험 (Plant Structure and Laboratory)
    식물 세포, 뿌리, 줄기, 잎의 구조, 정단 분열 조직, 뿌리 발생, 생식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또한, 이론에서 학습한 식물의 구조를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한다.

  • 동물비교해부학및실험1,2 (Comparative Anatomy of Vertebrate sand Laboratory1,2)
    척추동물의 구조와 기관을 형태학적으로 비교함으로써 계통발생학의 개념을 이해한다. 동물의 체제와 기관의 구조, 기능 및 각 기관의 분화과정을 진화적인 측면에서 다룬다.

  • 생태학 (Ecology)
    생물과 환경과의 관계를 대상으로 자연단위인 생태계의 특성을 파악하고 생태계내의 물질, 에너지순환, 서식조건, 개체군의 특성과 상호관계를 연구한다.

  • 환경생태학 (Environmental Ecology)
    지구생태계의 원리와 구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환경오염 현상의 원인과 제어 방안 등을 학습한다. 또한, 다양한 경관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자연 및 인공과정을 학습한다.

  • 생리학 (Physiology)
    생물체의 생리기능 원리를 이해하고 기능과 구조와의 상관관계를 이해한다. 생물체내 세포, 조직, 기관, 기관계 등의 생리기능이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학습한다.

  • 분자생물학 (Molecula Biology)
    DNA 구조와 복제, 재조합, 유전자 발현과 조절 등에 관하여 공부하고, 세포 수준에서의 구조 및 기능에서부터 분자수준에서의 유전물질의 구조, 복제, 전사, 번역 및 유전자 조절 등을 학습한다.

  • 분자생물학실험1,2 (Experiments in Molecular biology1,2)
    세포 질환 모델계를 이용하여 DNA 변이 및 복제, 유전 정보의 전사 및 번역 등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 아동과학지도(Scie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생명과학과 전공교육을 토대로 유아동 대상의 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한다. 교육 프로그램 설계는 유아동의 발달 단계, 흥미 등을 고려하여 유아동이 자발적으로 과학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내용을 기반으로 한다.

  • 과학놀이지도(Science Play and Young Children)
    과학놀이를 통해 지역 내 유아동에게 과학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교과목은 ‘아동과학지도’ 교과목과 연계되어 해당 교과목에서 개발된 과학 프로그램을 서비스 러닝을 기반으로 지역 사회에 봉사하며 실습한다.

  • 보전생물학 (Conservation Biology)
    생물의 다양성과 왜 보전하여야 하며 보전 방법, 법류 등을 다루고 나아가서는 생물을 보호하고 잘 관리하여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이 목표이다.

  • 유용곤충학 (Applied Entomoligy)
    인간 문명의 성장 동력이 되었던 곤충에 대해 문화, 산업, 역사, 예술, 문학 및 향후 유용곤충의 발전방향 등 여러 측면에서 매우 다양하고 흥미로운 분야를 다룬다.

  • 건강학개론(Introduction to Health Science)
    세포영양학, 영양의학, 생애주기 건강관리, 건강기능식품과 질병치료에 대한 학습을 바탕으로 웰니스 산업이 요구하는 전문역량을 성취한다.

  • 건강기능식품컨설팅(Consulting for Health Functional Foods)
    생애주기 및 건강상태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의 선택 및 섭취 방법에 대해 학습하며, 실체적인 상담 모의 수업 등을 통해 전문 건강코디네이터가 되기 위한 소양을 학습한다.

  • 국가자격기사준비 (National Engineer Qualification)
    국가기술자격인 생물분류기사, 자연생태복원기사 자격 획득을 준비하기 위한 이론 및 실기를 준비한다.

  • 생명공학종합실무(캡스톤디자인)1,2 (Capstone Design 1,2)
    창의적 종합설계 과목으로 전공교과목 및 이론 등을 바탕으로 산업체/기관(또는 사회)가 필요로 하는 과제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기획과 종합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창의성과 실무능력 등을 배양하여 창의적 현장실무능력 등을 배양한다.

  • 현장실습1,2 (field placement1,2)
    현장 적응력과 창의력을 지닌 인재양성을 위해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토대로 현장에서 실습을 실시하여 습득지식을 활용하고 응용 할 기회를 갖도록 한다.

  • 기능소재창업론 (Functional Materials Startup)
    기능성 소재의 탐색과 응용은 국내의 천연물 관련 연구 혹은 기능성 소재의 개발연구에 있어 전반적인 정보 및 기초 지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천연물 관련 연구를 기획함에 있어 요구되는 전문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건강기능성창업론 (Health Functional Startup)
    다양한 소재를 다루는 건강기능성식품 분야에서 창업시 필요적인 창업이념 및 목표, 창업아이템선정, 사업성분석, 사업계획서 작성을 종합하 여 회사설립과 설립절차까지의 창업분야의 이론과 실무를 학습하고자 한다.

  • 과학보육프로그램개발과평가(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hild Science Education Program)
    과학에 기반한 영유아 프로그램의 개념 및 필요성, 교육과정과 관련된 이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지식을 습득하여 보육현장에서 필요한 과학보육프로그램을 개발, 평가, 선택 및 적용할 수 있는 전문역량을 성취한다.

  • 과학보육실습(Practicum in Science Education for Young Child)
    과학보육프로그램개발과평가 교과목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지역 내 영유아 보육 기관과 연계하여 실제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실습한다. 이를 통하여 프로그램과 보육과정을 평가·보완하며, 보육과정에서의 교육 스킬과 기술을 습득한다. 최종적으로 과학보육사, 과학지도사로서의 실무 역량을 성취한다.

리뷰 네비게이션

꿈과 뜻을 찾아주는 우석대학교 생명과학과